본문 바로가기
👩🏻‍🏫 공부

[신규간호사공부]산소요법 이론정리

by 밝음이 2021. 9. 5.

[신규간호사공부]산소요법 이론정리

 

 

산소요법
목적: 가스교환에 문제가 있거나, 심장기능이 감소된 대상자에게 적용되는 방법으로
         저산소증을 예방하기위함

용어
-FiO2(fraction of inspired oxygen): 흡입 산소농도/ 대기 중 FiO2는 21%
-PaO2(arterial oxygen partial pressure): 동맥혈 산소분압
=>> '혈액에 산소가 얼마나 있나'
 동맥혈의 혈장속 산소분압, 혈액속에 용해되어 있는 산소량을 분압으로 표시한 것
-SaO2(arterial oxygen saturaion): 동맥혈 산소포화도
 동맥혈 속의 헤모글로빈 중 산소와 결합한 헤모글로빈의 비율
 산소와 결합 가능한 hemo결합부위 중 산소로 포화된 부분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
-SpO2(saturation of percutaneous oxygen): 경피적 산소포화도
 SaO2와 다른점은  pulse oximeter(맥박산소계측기)로 측정한 산소포화도라는 점
 헤모글로빈 포화도만 측정함,

조직의 관류상태가 좋지 않거나 혈관수축, 저체온 상태에서는 정확한 결과를 기대하기 어려움




저유량체계(low flow system)
종류- 비강캐뉼라, 비강카테터, 단순마스트, 부분재호흡마스크, 비재호흡or재호흡방지마스크
         안면텐트, 경기관 산소공급 등

1) 비강캐뉼라(nasal cannula)
산소농도- 24~36%(1~4L/min)
대상자의 비강을 자주 관찰한다(점막건조유발)
만성폐쇄성 폐질환(COPD) 대상자에게 2~6L/min미만의 산소를 공급한다
2L/min-> 28%, 4L/min-> 36%, 5L/min-> 40%(5L이상은 비강캐뉼라로 제공X)

2) 단순마스크(simple face mask)
산소농도- 40~60%(5~10L/min)
마스크의 위치를 자주 사정한다. 피부건조를 관찰한다
식사 중에는 비강캐뉼라로 대처하도록 한다
이산화탄소가 정체된 경우에는 사용금기이며, 구강호흡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

3) 부분재호흡마스크 ("리저브백"이라부름)
산소농도- 70~90%(6~15L/min)
**환자에게 적용하기 전에 주머니 입구쪽을 손으로 막고 산소를 틀면 주머니가 부푼다
부푼 후에 환자에게 적용해야 한다
보유주머니가 2/3정도 이상 공기가 채워져 있도록 한다
보유주머니가 꼬이지 않도록 한다

4) 비재호흡 또는 재호흡방지마스크
산소농도- 95~100%(6~15L/min)
보유주머니가 흡기 시에만 약간 수축되고 공기로 채워져 있도록 한다
일방향밸브가 적절히 열리고 닫히는지 살핀다

5) 안면텐트
산소농도- 30~50%(4~8L/min)
피부의 건조여부를 자주 관찰한다

고유량체계(high flow system)
1) 벤츄리마스크(venturi mask)
산소농도- 24~48%(4L/min), 35~40%(8L/min), 50~60%(12L/min)
처방된 FiO2에 맞추어 정확하게 눈금을 조절한다
공기통로에 막힌 곳이 없는지 살핀다
식사시에는 마스크를 벗긴다
-유일한 고유량체계로, 대기의 공기를 끌어들이도록 정교하게 압력을 형성하여 원하는 FiO2를
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어, 치료적으로 일정한 산소농도를 정확히 공급해야 하는 만성호흡기계
질환 대상자에게 유용하게 쓰인다

 

 

 

기본적인 산소요법과 산소농도.

산소요법은 간호사라면 기본으로 알아야 하며 중환자실 간호사라면 더더욱~자세히 공부하여 지식을 쌓아야 한다.의사 order대로 하는데 꼭 알아야 하냐...하는 RN도 있겠지만 지식이 있는 상태에

jubinmom49.tistory.com

 

 

[간호공부] L - tube regurgitation 했을 때 ( 색/ 양/ 비정상 양상 )

[간호공부] L - tube  regurgitation 했을 때 ( 색/ 양/ 비정상 양상 ) Q.  L -tube regurgitation 했을 때, 다시 넣어야 하나? A.  산염기 불균형이 오기 때문에, regurge 한 내용물은 다시 넣어야 한다 Q...

dengedenge.tistory.com

 

신규간호사공부_ motor grade 측정법(운동기능 사정)

임상  환자의 motor Grade 사정의 경우 1) 주기적 운동기능 사정 - 오래된 뇌경색 or 뇌출혈 등의 history 환자로 마비 or 운동기능 저하 증상을 갖고 있는경우 2) 운동기능의 변화 - 정상적 운동기능인

dengedenge.tistory.com

 

반응형